국제종교연합, 6.25 75주년 ‘종교평화선언문’
국제종교연합, 6.25 75주년 ‘종교평화선언문’
“사랑으로 치료, 자비로 보듬고 나눔 실천해 소외된 삶 위로”
불교-기독교-천주교 등 유엔기념공원서 26일 헌화 등 추모
불교-기독교-천주교 성직자와 신자들이 종교와 인종, 정치를 초월하여 세계평화를 목적으로 출범한 국제종교연합이 세계 유일한 유엔군 묘지가 조성돼 있는 유엔기념공원에서 ‘종교평화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날 국제종교연합은 한국전쟁 75주년을 맞아 유엔군 묘지에 참배행사도 가졌다.
국제종교연합은 6월 26일 오전 11시 40분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정여 이사장을 비롯해 임영문 목사(평화교회), 김계춘 신부(천주교 부산교구), 신요안 신부(안락성당), 정오 스님(범어사 주지) 등 공동회장과 정근 운영위원장(장로) 등 임원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6.25 유엔기념공원 참배 행사’를 가져,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목숨을 바친 유엔군 전몰장병과 호국영령의 희생을 기렸다.
국제종교연합은 이날 ‘종교평화선언문’을 발표하면서, 종교와 국가를 초월한 단체인 만큼 불교-기독교-천주교를 대표한 성직자들이 차례로 낭독함으로써, 종교가 앞장서서 평화를 실천할 것을 다짐했다.
가장 먼저 종교평화선언문을 낭독한 국제종교연합 고문 김계춘 신부는 “평화를 사랑하고 종교의 벽을 넘어서 온 세상을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는 데 종교인들이 앞장서 나가야 한다”며 “모든 인류는 서로간의 미움과 원망이 커져가 전쟁이 일어나고 아름다운 세상을 위협하고 파괴하므로, 우리의 소망을 담아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여 사랑으로써 우리 모두가 행복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어 이사장 정여 스님(범어사 금정총림 방장)은 “우주는 자연의 섭리를 따르고, 우리 모두 하나의 소우주이기에, 모두가 평화라는 하나의 뜻으로 힘을 모아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사람의 인성을 고귀하게 하고, 온 세상을 평화로 물들여 가기 위해서는 자연과 같이 서로가 공존하고 상생하여 지구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고 인류는 물론 자연과의 공생을 제언했다.
기독교를 대표한 국제종교연합 임영문 공동회장은 “종교 간의 벽을 넘어서 각 종교 간의 의식과 가르침을 인정하고 존중함으로 온 세상을 사랑과 평화로 물들여 나가야 한다”고 호소하고, “모든 영혼은 아름다움으로써 존중받아야 하고, 작은 공동체로부터 시작하여 인성을 회복하고, 국가와 세계로 번져 우리에 아름답고 고귀한 영혼의 빛이 성장하여 널리 퍼져가야 한다”고 말했다.
역시 국제종교연합 공동회장인 정오스님(범어사 주지)과 신요안 신부, 정근 운영위원장도 종교평화선언문을 통해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고 하나의 인격체를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었을 때 평화는 항상 그 자리에 함께 하는 것이다.(정오스님)”, “지구촌의 아픔과 슬픔을 돌보아 주는 아름다운 정신이 세상을 아름답고 향기 나는 세상이 되고 사람들의 영혼을 정화시킨다.(신요안 신부)”, “나와 이웃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것 같지만 전부가 그물망처럼 연결된 것이며, 나 홀로 존재하는 것은 없는 것이다. 나와 이웃, 나와 사회, 나와 국가, 나와 우주, 나와 자연, 종교와 종교, 모든 종교도 함께 사랑으로 공존해 나가는 것이다.(정근 운영위원장)”라고 한국전쟁 75주년을 맞아 유엔기념공원에서 세계평화를 호소했다.
국제종교연합은 이날 오전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 내에서 △추모관 영상 시청 △주 묘역 헌화 및 참배, 추도사 등을 한데 이어 유엔기념공원 측의 협조로 해설사와 함께 유엔기념공원의 여러 시설들을 둘러보고, 한국전쟁에 얽힌 숨은 사연들을 듣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
지난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에는 미국, 영국, 튀르키예 등 전투병을 파병한 16개국과 의료지원에 나선 6개 나라를 합쳐 모두 22개국에서 4만여 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지도상에서조차 금방 찾기 힘들었을 대한민국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산화했다.
부산 남구 소재 유엔기념공원엔 당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가 희생한 11개국 젊은이 2,300명이 잠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