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70대 어르신, 대상포진 3배 위험”
“당뇨 70대 어르신, 대상포진 3배 위험”
재조합 백신 10년 이상 효과…고령층 필수 예방
생백신 접종자도 5년 경과시 “새 백신 접종해야”
당뇨·만성질환자는 맞춤백신으로 건강한 노후 설계

최근 병원을 찾는 성인 환자들 사이에서 “백신은 몇 년이나 효력이 지속되나요?”라는 질문이 늘고 있다. 특히 대상포진·폐렴·자궁경부암 등 중장년 건강과 직결되는 백신에 대한 장기 예방효과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대상포진 재조합 백신(싱그릭스)은 접종 후 10년이 지나도 약 80%에 가까운 예방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생백신(조스타박스)의 효과가 8년 뒤 4%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과 달리 장기 면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점이 특징이다. 현재 기준으로는 싱그릭스 2회 접종만으로 충분하며, 추가 접종은 권장되지 않는다. 다만 접종 후 10년 이상의 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향후 연구 결과에 따라 기준이 조정될 수 있다.
과거 생백신을 맞았던 사람도 재조합 백신으로 다시 접종할 수 있다. 생백신 접종 후 5년 이상 경과한 경우 재접종이 가능하며, 특히 70세 이상 고령자나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처럼 고위험군은 더 빠른 접종도 고려된다. 전문가들은 “위험군은 더 빨리 면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70대 당뇨 환자는 면역 기능 저하로 인해 일반인보다 대상포진 발병 위험이 약 3배 높아 반드시 예방접종이 권고된다. 당뇨병 환자는 백신 접종에 제한이 없고, 적절한 시기에 예방접종을 받을 경우 대상포진뿐 아니라 중증 합병증 위험까지 줄일 수 있다. 실제 환자 경험에서도 “백신 덕분에 대상포진을 피했다”, “통증 후유증을 막아 삶의 질이 개선됐다”는 평가가 많다.
B형간염 백신은 3회 접종만으로도 30년 이상 면역이 유지되며, 추가 접종은 일반적으로 필요 없다. 다만 면역저하자나 만성 간질환 환자는 혈액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 접종 여부를 판단한다. 폐렴구균 백신은 65세 이상 고령층과 만성질환 환자에게 권장되며, 인플루엔자 백신은 매년 접종하는 것이 기본이다.
온병원 감염병센터 이진영 교수(전 고신대복음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은 개인별 건강 상태에 따라 접종 시기와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며 “특히 고령자·면역저하자·만성질환자는 의료진 상담을 통해 맞춤형 접종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특히 이 과장은 “요즘 대유행하고 잇는 독감이 내년 4월까지 이어질 우려가 제기되므로 노약자나 만성질환자 등 면역저하자는 지금이라도 빨리 독감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했다
온병원 하상욱 과장(신경과전문의)은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50세 이상이면 누구나 고려해야 하고, 고령층과 당뇨 환자에게는 더욱 필수적인 예방책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26일 강조했다. 또 관련 질환의 감염 위험과 후유증 부담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 과장은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