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충분한 수분섭취-손 씻기-실내온도 2628도 유지

 

부산 온병원, 온열질환·식중독 등 예방 건강여름캠페인

전대미문의 폭염에 이미 온열질환자 수 네 자리 수 기록

고령자-만성질환자, 어지러움·구토 증상 즉시 병원 가야

 

 

건강한 여름나기 포스터.png

폭염이 일상화된 여름철엔 건강관리에도 비상이 걸린다. 온열질환뿐만 아니라 식중독과 장염에 쉽게 노출된다. 또 수영장을 자주 찾는 탓에 방광염이나, 땀을 많이 흘려서 갱길 수 있는 저혈압에도 주의를 게을리 해선 안 된다.

 

부산 온병원 통합내과 유홍 진료처장과 노년내과클리닉 은명 소장은 올해 이미 온열질환자 수가 최단기에 1천명을 돌파하는 등 여름 날씨가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예상되므로, 7, 8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걸리는 질환들의 예방을 위해 건강관리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등 건강한 여름나기에 신경 써야 한다20일 조언했다.

 

폭염 경보가 잇따르는 요즘엔 체온 조절 이상으로 인한 열사병, 열경련, 열실신 등 온열질환이 급증한다. 특히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는 열사병 위험이 높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7월초 현재 2025년 누적 온열질환자 수는 1,228명으로,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2.5배 증가했다. 사망자도 8명에 이른다. 특히, 지난 78일 하루에만 238명이나 온열질환자가 발생해, 일일발생량으로 2018년 이후 첫 200명을 돌파했다.

 

온열질환을 피하려면, 뜨거운 낮 12오후 5시 야외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시원한 실내나 그늘에서 휴식을 위하는 게 좋다. 하루 물 2L 이상 수분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옷은 밝은 색상 계통으로 헐렁하게 입는 게 도움 된다.

 

습도가 높고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면 살모넬라, 대장균 등 세균이 빠르게 번식해, 식중독이나 장염 등 음식물 섭취로 인한 감염 질환이 늘어난다. 최근 5년간 해마다 78월 장염 환자 수는 100만 명을 훌쩍 넘는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7월 초 기준으로 장염 의심 신고 건수는 전년도와 대비해 15%나 늘어났다.

 

살모넬라균(42.2%), 병원성 대장균, 캄필로박터균 등이 원인균인 식중독은 672시간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복통, 발열을 일으킨다. 날달걀·가공품, 오염된 육류, 해산물 등을 섭취하다 주로 감염된다.

 

세균(대장균, 살모넬라), 바이러스(노로바이러스), 비감염성 요인(스트레스) 등이 원인인 장염도 식중독과 비슷하게 복통, 설사, 탈수, 영양 결핍 등 증상을 보인다.

 

식중독과 장염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유통기한을 꼼꼼히 확인하고, 생물과 육류는 냉장 보관한다. 육류나 달걀은 완전히 익혀서 먹어야 한다. 생식은 피하되, 조리 시 85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하고, 조리 후 2시간 이내 섭취해야 하며, 남은 음식은 5이하에 보관하는 게 바람직하다. 손 씻기도 식중독과 장염관리에 꼭 지켜야 할 생활수칙.

 

방광염도 무덥고 습한 여름철 사람들을 괴롭힌다. 습한 환경에서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고, 수영장 이용 증가로 여성 방광염 환자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201820225년간 해마다 160만여 명이 방광염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78월에 환자 수가 급증하며, 8월에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성별로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취약하다. 방광염은 여성 환자 비율이 94%여성 질환으로 불린다. 주로 4060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남성 방광염의 경우 9세 이하 아동 또는 60대 이상 노인에서 상대적으로 발생률이 높다.

 

방광염을 예방하려면, 소변 참지 않기, 배뇨 후 철저한 뒤처리 등 개인 위생관리가 중요하다. 하루 2L 이상 물을 마셔 소변 배출을 촉진하는 것도 방광염을 예방하는데 도움 된다. 또 수영장이 여름철 방광염 감염 장소로 지목되므로, 수영 후 즉시 샤워로 세균을 제거해야 한다.

 

방광염을 방치하면 만성 신장염이나 패혈증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빈뇨·배뇨통·혈뇨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비뇨기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여름철엔 무더위로 혈관이 확장되고 탈수가 발생해 기립성 저혈압도 빈번히 나타난다. 기립성 저혈압은 전체 저혈압의 30% 정도 차지하는데, 여름철에 더 빈번히 발생한다. 고령자나 당뇨,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자들이 기립성 저혈압에 더 취약하다. 특히, 온열질환과 저혈압은 상호 연관성이 있으며, 폭염 시 혈관 확장으로 인해 저혈압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는 거다.

 

기립성 저혈압은 갑작스러운 어지러움, 시야 흐림, 실신,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시간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액이 하체로 쏠리면서 일어나는 거다.

 

기립성 저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누운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서지 말고, 12분간 앉았다가 서서히 일어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하루 2L 이상 물을 마셔 혈액량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저혈압이 심한 경우 의사와 상의해 적정량의 염분 섭취도 고려해야 한다.

 

저혈압 환자는 폭염 시 위험도가 높아진다. 고온 환경에서 말초혈관 확장으로 혈압이 더 떨어질 수 있고, 수분 부족 시 혈액 농축으로 심장에 부담이 가중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한낮 외출을 자제하고, 시원한 환경에서 휴식을 위해야 한다.

 

폭염은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하고, 탈수 시 심장에 부담을 주므로, 당뇨·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자가 더 위험하다.

 

당뇨 환자의 경우 물로 갈증을 해소하되, 과일주스는 혈당을 급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심혈관질환자는 외출 시 니트로글리세린 등 상비 응급약을 꼭 챙기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한다.

 

온병원 통합내과와 노년내과클리닉은 슬기롭고 건강한 여름나기를 위해서 하루 8잔 이상 물 마시기 탈수 유발 우려가 있는 커피·술 금하기 손 소독제로 위생 관리 철저히 하기 실내 온도 2628유지 에어컨 필터 주기적인 청소 어지러움·구토 증상 시 즉시 휴식 취하고 병원 방문 등을 권하고 있다.

 

 
목록
닫기
닫기
© k2s0o2d0e0s1i0g1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