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흉통-호흡곤란 등 관찰습관이 골든타임 확보
평소 흉통-호흡곤란 등 관찰습관이 골든타임 확보
제때 응급 처치할 수 있는 시간 확보여부 생사 갈려
“남자는 흉통-여성은 호흡곤란”이 심정지 주요 신호
부산 온병원 심혈관센터, 의사 전원 심장내과전문의
# 지난 3일 새벽 3시쯤 부산 북구 집에서 잠자던 A씨(71)는 격심한 가슴 통증을 느꼈다. 곁에서 자던 그의 아내가 깜짝 놀라 곧바로 가슴을 부여잡으며 고통스러워하는 그를 차에 태워 근처 병원 응급실로 달려갔다. 심전도검사 결과 급성 심근경색 의심돼 부산 온병원 응급센터를 통해 입원했다. 이 병원 심혈관센터 오준혁 과장(전 부산대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L씨에 대해 관상동맥조영술(CAG) 시행했고, 좌전하행지(LAD)가 완전히 막혀 있다는 걸 확인했다. 오준혁 과장으로부터 응급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을 성공적으로 받고 기적으로 목숨을 건졌다.
# 부산 부산진구에 사는 여든두 살 B할머니는 지난 6일 아침 6시쯤 방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있다 함께 사는 남동생에 의해 발견됐다. 방에서 캑캑거리는 소리가 들려 들렀다가 누나가 쓰러져 있는 것을 보고 놀란 남동생은 곧바로 119를 호출해 J할머니를 온병원 응급센터로 이송했다. 119구급차 안에서 심폐소생술을 했으나 할머니가 응급실에 도착했을 땐 이미 심정지 상태였다. 온병원 응급센터에서 여러 차례 에피네프린 등 약물 투여와 기도 확보(Intubation), 제세동(defibrillation) 등 적극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일시적으로 자발호흡 상태를 회복했다가 또다시 심정지가 와서 동생 등 보호자들이 연명진료를 원하지 않아 결국 숨졌다.
A씨나 B씨는 각각 당뇨와 고혈압을 기저질환으로 앓고 있었으나 최근 별다른 증상을 호소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A씨는 갑작스런 흉통을 호소하자 곁에서 자던 아내가 곧바로 발견해 병원 응급실에 실려가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었고, 혼자 자던 B할머니는 쓰러진 뒤에야 가족들의 조치가 이뤄졌다는 점이 달랐다. 이른바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골든타임에 의해 두 사람의 운명이 갈라진 셈이다.
이 때문에 골든타임이 요구되는 심정지나 뇌졸중 등이 의심되면 최대한 빨리 병원을 내원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들은 미리 꼼꼼히 관찰하고 기록하는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하겠다.
심정지의 전조증상은 대개 쥐어짜는 듯한 가슴통증 또는 가슴이 압박되는 느낌을 갖는다. 통증은 가슴 중앙 또는 왼쪽에 나타나고, 이 통증이 턱, 어깨, 팔(특히 왼팔)로 퍼질 수 있다.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숨이 쉽게 차는 증상, △심장이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느낌(두근거림), △머리가 멍해지거나, 어지러움, 핑 도는 느낌, △심한 무기력감, 극심한 피로감, 식은땀 △얼굴, 입술, 손발이 창백해짐 △구토, 구역질 등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난다.
부산 온병원 심혈관센터 이현국 센터장(부산대병원 심장내과 겸임교수)은 “심정지 환자의 70% 이상은 수일이나 수개월 전부터 이런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지만 4분의1 정도는 아무런 전조증상이 없이 갑자기 심정지가 발생하기도 한다”며 고혈압이나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평소 유사 증상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심정지 증상은 남녀가 조금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여성은 숨이 가빠지는 호흡곤란이 두드러진 전조 증상으로 나타나며, 통증보다는 피로감, 구역질, 메스꺼움 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을 많이 호소한다. 남성은 주로 가슴 통증이 가장 흔한 전조 증상이며, 이 통증은 쥐어짜는 듯하고 주로 왼쪽 가슴에 집중되는 편이다.
증상이 있을 경우, 심정지에 대비하려면 정기검진이나 심장전문의를 통해 필요한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한데, 심전도 검사(ECG)와 심장초음파 검사와 운동부하 검사 및 심장CT촬영술 등이 필요하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감지해 심장근육 손상 여부를 판단하거나 부정맥을 판단하는데 유용하며, 급성 심근경색의 초기 진단에 필수적이다. 심장초음파 검사의 경우 심장근육의 움직임과 판막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심장의 기능도 평가할 수 있다. 운동부하 검사는 환자가 운동을 하면서 촬영되는 심전도 변화를 확인해 심혈관 질환 가능성을 평가하며, 심장CT촬영술은 심혈관의 기형이나 협착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며, 급성 심근경색이 의심될 경우엔 심장효소인 트로포닌이 증가하므로 피검사로 이를 측정해 심장 근육의 손상 여부를 알 수도 있다.
심정지나 심장마비 같은 심혈관계 중증 질환의 조기 전조증상 자가진단법의 활용을 극대화하려면 평소 몸 상태와 증상을 꼼꼼히 관찰하는 것이 핵심이다.
온병원 심혈관센터 오준혁 과장(전 부산대병원 심장내과 교수)은 “평소와 다른 심장 및 호흡 관련 증상을 자각하고 증상 악화 시 신속히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조기 발견에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정기검진을 통한 위험인자 관리로 예방력을 높이고 증상 인지력을 키우는 것도 심정지 뿐 아니라 뇌졸중 등 긴급 상황에서도 유효한 조기 발견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24시간 심정지 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부산 온병원(병원장 김동헌·전 부산대병원 병원장) 심혈관센터는 심혈관 중재시술 인증기관으로서, 4명의 의료진 모두 심장내과 분과전문의이며(이현국 센터장, 김현수 과장, 오준혁 과장, 장경태 과장), 이들을 돕는 방사선사와 전문간호사 4명 모두 대한심혈관중재시술연구회인 KCTA(Korea Cardiovascular Technology Association)의 자격증을 갖추고 있고, 당직체제로 운영돼 1년 365일, 하루 24시간, 분초를 다투는 심장마비나 급성 심근경색 환자들에게 응급 시술을 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