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과성 기억상실은 뇌에서 보내는 빨간 신호등

같은 질문 되풀이 하면 뇌졸중 전조증상일 수도

최근 일 기억 못한다고 건망증으로 넘기면 안 돼

온병원, “골든타임 놓치면 치명적, 간절기에 조심

 

KakaoTalk_20250924_154806447.png

며칠 전 밤중에 A씨는 횡설수설하는 남편(60)을 보고 깜짝 놀랐다. 남편이 1주일 전 참석했던 친척의 장례식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고, 사실을 일러줘도 외려 자신에게 화를 내면서 같은 질문을 되풀이했다. A씨는 직감적으로 남편의 뇌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단하고, 강하게 거부하는 남편을 겨우 설득 끝에 응급실로 데려갔다. MRI검사에서 그는 뇌경색으로 진단됐다.

이처럼 갑작스럽게 특정 기억을 잃고 같은 질문을 반복하는 증상은 흔히 일과성 전향성 기억상실증(Transient Global Amnesia, TGA)’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수 시간 내 회복되며 영구적 장애를 남기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뇌혈류 장애나 뇌졸중의 조기 신호일 수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산 온병원(병원장 김동헌·전 대한외과학회 회장) 뇌신경센터 하상욱 과장(신경과전문의)25일과성 기억상실을 흔히 건망증과 혼동하기 쉽지만 전혀 다른 상태라고 규정했다. 일과성 기억상실은 최근 있었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같은 질문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계속 되풀이하며, 증상이 회복된 뒤에도 당시의 상황은 기억에서 사라진다고 하 과장은 덧붙였다.

하 과장은 짧더라도 갑작스러운 기억 장애는 뇌가 보내는 응급 신호일 수 있다즉시 응급실을 찾아 MRI 등 뇌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관련증상을 확인하고 곧바로 남편을 응급실로 데려간 A씨의 빠른 판단 덕분에 남편이 무사할 수 있었다고 하 과장은 재차 강조했다.

대부분 일과성 기억상실은 하루 이틀 지나면 자연스레 회복되지만, 비슷한 증상이 뇌졸중 초기에도 나타나므로 빨리 응급실로 가야 한다. 특정기억 소실 외엔 다른 나쁜 증상이 없다고 집에서 지켜보다가 골든타임을 놓치면 심각한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신경과전문의들은 경고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뇌졸중 환자는 매년 약 10만 명 이상 발생하며, 이 중 절반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후유증을 겪는다. 특히 뇌졸중 전조 증상으로 갑작스러운 언어·시각·기억장애가 2030% 환자에서 보고되는 만큼, 이런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뇌졸중은 요즘처럼 간절기에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절기에는 일교차가 커지면서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이 급격히 오르기 쉽기 때문이다. 일교차가 1도씩 증가할수록 급성 뇌졸중 위험이 약 2.4%, 65세 이상에서는 2.7% 증가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아침과 저녁 기온 변화가 큰 34, 911월에 뇌졸중 환자가 늘어난다.

온병원 뇌신경센터 배효진 과장(신경과전문의·뇌졸중치료인증의)반복적인 질문, 갑작스러운 기억 공백은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환자가 버티더라도 119구급대의 도움을 요청하는 등 가족이 적극적으로 응급실에 데리고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과성 기억상실은 대부분 지나가는 해프닝처럼 보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뇌가 보내는 첫 번째 경고음일 수 있다. 배효진 과장은 반복적 질문을 들으면 단순 건망증으로 치부하지 말고, 뇌가 내는 빨간 신호등이라 여기고 즉시 병원 검사를 받도록 돕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목록
닫기
닫기
© k2s0o2d0e0s1i0g1n. ALL RIGHTS RESERVED.